김나래 사진
직위
부교수
전화번호
6584
연구실
IT융합대학 5221호

학위

  •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
  •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학교 및 진로상담 전공)
  •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학교 및 진로상담 전공)

경력

  •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상담실(2019. 09. ~ 2020. 08.)
  • 숭실대학교 상담센터(2015. 09. ~ 2017. 02.)
  • 연세대학교 심리상담센터(2014. 09. ~ 2015. 08.)
  • 구로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(2014. 01. ~ 2015. 02.)
  • 성신여대, 인하대, 동양미래대학교 출강(2015 ~ 2020)
  •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 편집위원(2023.01. ~ 2026.12.)
  • 생애개발상담학회 자격관리위원회 부위원장(2024.01. ~ 2025.12.)

자격증

상담심리사 1급 (한국상담심리학회)

강의교과목

  • [학부] 학습심리학, 성격심리학, 진로상담, 심리통계, 상담연구방법 종합설계
  • [대학원] 성격장애의 심리치료, 고급진로상담

주요논문

  • 2024. 군 전역 후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, 교육치료연구
  • 2024. 청소년의 그릿과 미래진로성취의 관계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  • 2024.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: 자기자비와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, 청소년학연구
  • 2024. 20대 남성의 신경성 폭식 경험 및 극복의 의미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, 인문사회과학연구
  • 2024. 워킹맘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직무소진의 관계: 마음챙김의 매개효과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  • 2024. 대학생의 내적 통제소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: 자기구실 만들기와 학업지연행동의 이중 매개효과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  • 2023. 한국판 청소년용 완벽주의 단축형 척도(CAPS-SF) 타당화 연구, 청소년학연구
  • 2023. 한국판 학업 및 진로결정에서 타인의 영향력 척도(IOACDS) 타당화 연구, 진로교육연구
  • 2023. 대학생의 개방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: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, 아시아교육연구
  • 2023. 한국판 실수 반추 척도(K-MRS)의 타당화 연구: 대학생을 대상으로,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
  • 2023.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의 관계: 그릿(Grit)의 조절효과, 청소년학연구
  • 2023. Why does university students’ work volition lead to career satisfaction?.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(online first)
  • 2023.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  • 2023. 소명수행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조절효과. 진로교육연구
  • 2022. 대학 졸업예정자의 희망, 진로적응성, 진로구성행동, 진로만족 간의 관계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  • 2022.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work volition scale,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
  • 2022. 직장인의 주도성과 일 의미 관계에서 진로적응성,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: 진로구성이론 적응모형을 기반으로, 진로교육연구
  • 2022.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: 자율성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, 인문사회 21
  • 2022. 취업준비생의 자기자비, 취업스트레스, 우울의 관계: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, 인간이해
  • 2021. 20-30대 직장인의 조직 내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: 직무소진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. 상담학연구
  • 2021. Rasch 모형을 이용한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척도 단축형(PSO-8) 개발. 인간이해
  • 2021.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, 자기자비,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  • 2020. Social status and decent work: Test of a moderated mediation model.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
  • 2020.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, 사회적 지지, 일 자유의지와 진로만족의 관계: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
  • 2020. 부모의 성취압력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: 부정적 평가에의 두려움과 진로정체감의 이중 매개효과. 인간이해
  • 2020. 전문대생의 그릿(Grit)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  • 2019. 일 자유의지와 일의 의미의 관계: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종단관계. 상담학연구
  • 2018.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Korean undergraduates: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work volition.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
  • 2018. The effect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career adaptability: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decision‐making self‐efficacy and occupational engagement.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

수상내역

저서

  • 사례 중심의 진로상담(공저), 2024, 북앤정
  • 성격심리학(공역), 2023, 사회평론아카데미